TradingView
SEMIN_
١٤ حزيران يونيو ٢٠١٨ ٠٦:٢٠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의거한 비트코인 2K 갈 수 밖에 없는 이유와 피보나치 펜을 이용한 분석 بيع

Bitcoin / DollarBitfinex

الوصف

이번 분석은 엘리어트 파동이론과 피보나치 펜을 이용한 예상 흐름과 목푯값을 설정해본 글 입니다.


제 기준에서는 6425가 무너진 순간부터 상승에 대한 관점은 완전히 깨져버린 상황이며, 행복회로를 차단하고 냉정한 관점으로 비트코인 시장을 분석한 결과 글입니다.


현재 파동의 대파동 기준 카운팅은 대파동 4파 진행중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일어나고 있는 반등은 대파동 3파의 피보나치 펜에서 가장 강한 지지라인인0 0.25 비율 자리에서 반등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일봉 기준)



0.25 비율 자리를 4시간 봉 기준에서 확대한 사진입니다. (4시간 봉 기준)



다음은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현재 위치에 덧 입혀본 사진입니다.
(피보나치 펜 관점에서 0.382 비율 지지 실패의 이유는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의거하여 3파>1파 라는 이유로 지지실패하고 0.25 선까지 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http://cfile7.uf.tistory.com/image/1420274F4FE53F1B2D351E



제 기준에서 비트코인이 2K를 간다고 말씀드리는 이유의 근거는 대파동 3파의 세부상승파동 5파가 연장파동이 일어났다는 관점입니다.

먼저 대파동 3파의 세부 카운팅입니다. 1900~2400 사이를 대파동 3파의 세부파동 4파 자리로 보고 있습니다.



대파동 3파의 세부파동 5파의 연장 그림입니다.

http://slidesplayer.org/slide/11228160/60/images/26/5%ED%8C%8C+%EC%97%B0%EC%9E%A5%EC%8B%9C+a%EC%9D%98+%EC%9D%BC%EB%B0%98%EC%A0%81+%EC%B5%9C%EC%A0%80%EC%B9%98+a%EC%9D%98+%EC%B5%9C%EC%A0%80%EC%B9%98.jpg

대파동 3파의 세부파동 5파의 연장 그림을 덧 입혀본 사진입니다.



제 기준에서 조정하락파동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중 가장 큰 이유는 조정 기간에 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대파동 1파 상승이후 2파의 눌림 시간과 현재 대파동 3파 상승 이후 4파 눌림의 시간을 비교해 보았을때 아직 1/3 또는 1/2 의 위치밖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어 장기적인 하락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팔로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تعليق

5파 연장에 대한 그림이 잘 나오지 않아, 이 사진을 참고하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cfile202.uf.daum.net/image/2444584956D03EA2277A5A

تعليق

5파 연장 이후 일어나는 조정파동에 대해 설명 그림 추가하겠습니다.

그림은 엘리어트 파동이론 책에서 참고한 그림입니다.

대파동 3파의 세부파동 4파까지 눌림이 진행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تعليق

위에서 설명드린 피보나치 펜 관점에서 펜 값이 다른 이유는 최저점과 대파동 1파를 이은 피보나치 펜과 대파동 2파와 3파를 이은 값의 차이입니다.



تعليق

6425가 깨지고 나서 상승에 대한 관점이 깨져버린 이유는 플렛형 조정 abc파동이 일어났다는 가정하에 a파를 6000으로보고 c파의 끝을 6425로 보고 수렴형태를 통한 상승 파동이 진행된다는 관점이었는데, 6425를 깬 이후로 플렛형 조정의 가능성이 없어졌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밑의 사진은 6425를 깨지않고 상승파동을 진행했었다면 예상해본 시나리오입니다.

تعليق

2K를 가는 것 보다는 훨씬 낮은 가능성에서의 상승관점에서 대파동 3파의 세부파동 5파가 연장파동이 일어난만큼 불규칙파동의 일종인 이중되돌림이 일어난다는 가정을 한 후, 현재 구간을 A파의 진행으로 본다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구간에 대한 설명은 이전에 제가 6425에서 일어난 상승 파동의 세부파동 5파가 연장됬다는 가정하에 이중되돌림에 대해 적었던 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9990을 B파로 잡고 5파의 끝에서 이중되돌림 B파까지의 진행을 하기에 A파가 꽤 오랜 기간 횡보를 진행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구간을 같은 구간으로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6425 구간 이중되돌림 카운팅입니다.


현재 구간 이중되돌림 가능성입니다.


이전에 이중되돌림에 대해 작성했던 글입니다.

تعليق

상승과 하락에 대한 관점은 직전 저점인 6000의 이탈여부에 달려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 전까지 100%의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제 기준에서는 확률적으로 하락과 상승에 대해 9:1의 가능성을 두고 스캘핑,단타 매매만 하고 있습니다.

تعليق

상승 트렌드 라인으로 설정해본 이중되돌림 진행 시, 목푯값입니다.

تعليق

엘리어트 파동이론 책에 나와있는 내용 대로의 파동카운팅에 따르면(제가 계산한 파동 카운팅과는 조금 다릅니다.)

제가 올려드린 예상값과는 조금 다르게 3300~3500이 C파의 끝값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지지받고 있는 영역이 책에 나와있는 대로 5파의 연장파동 1~2파 값에서 지지받고 있다는 가정입니다.



تعليق

13~14년도에 있었던 하이먼 민스키 모델을 예시로 제 기준에서 2k를 보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13~14년도에 있었던 하이먼 민스키 모델의 형태는 플렛형 조정으로 A파동을 끝내고 B파동을 진행하였지만 (대파동 3파의)세부파동 5파가 연장파동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이중되돌림을 주지 못하고 내려간 경우 입니다.(이중되돌림을 주지못했다는건 그만큼 시장의 매수세가 약하다는 의미로 해석) 결국 파동이론의 정석대로 파동의 3파와 4파 사이의 값에서 지지받고 C파를 마무리하고 반등(대파동 5파가)을 주었으나 큰 반등을 주지못하고 추가 하락파동이 이어져서 장기침체 구간으로 빠져들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구간에서 이중되돌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관점으로 c값으로 보이는 대파동 3파의 4번자리인 3300~3500 구간에서 지지 받더라도 c값의 끝에서 반등이 일어나지만 (대파동 5파) 이중되돌림이 일어나지않았다는 관점에서(매수세가 약하다고 해석) 2k까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تعليق

이중되돌림 실패의 이유로 단순한 관점에서 설명해드리자면 이전 6000-11500까지 상승 진행했던 파동의 그림을 보면 1파 상승 이후, 3파가 강한 연장 상승파동을 이어가는 바람에 4파 눌림이 컸고 그 여파로 5파의 상승폭이 작아져서 더블탑이 완성되어 6425까지 하락(역 이중되돌림)을 진행했었습니다.


위의 더블탑 그림을 뒤집어서 생각해본다면 이전 19900에서 무너지는 파동의 카운팅 1파 하락 이후, 3파 하락이 매우 강하게 나오는 바람에 4파 반등이 컸고, 5파 하락(6425)이 작았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구간을 역 더블탑 구간으로 보고 있으며 이중되돌림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의 자리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파동의 힘은 매우 약했고, 이중되돌림 실패로 인한 패닉셀과 함께 전 저점인 6425를 깨며 새로운 하락 파동(대파동 C파)을 진행중이라는 관점입니다.


التعليقات
CHACHA_
1. 상승파동 카운팅이 달라지면 4파 조정파동 끝 지점이 달라질 수 있을것 같습니다.
2. 또한, 조정파동 카운팅이 달라지면 지금 막바로 2k대로 가는 것이 아닐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EX. 2월부터 현재까지 B파동을 삼각조정으로 보는 경우 OR 2월부터 현재까지 조정파동을 하락쐐기형으로 보는경우)
이는, 대파동 3파의 상승 5파가 843일이 걸린 반면, 조정파동이 2K에 도달했을때 끝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서, 중간에 반등이 한번 온 후에 하락하지 않을까 싶습니다.(또는 이중 되돌림도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현재 조정 수준이 삼각조정(6000깨지 않는), 하락쐐기형 조정(6000깨진경우)을 한번 생각해봅니다. 이후에 위와같은 하락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매우 좋은 분석인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SEMIN_
@ijeweon, 피드백 감사합니다. 저도 확실히 기간적인 부분이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식의 파동형태로 진행될지 매우 기대되는 자리입니다.
CHACHA_
@SEMIN_, 비트스탬프같은 경우 비트코인의 차트 시작이 2011년도 입니다. 이미 하이먼민스키가 한번 다녀간 자리인것 같습니다.
세민님이 적용하신 피보나치팬을 이용한 분석도 충분히 가능할것 같습니다.
2014년도 저점 부분이 비트스탬프와 비트파이넥스가 서로 다릅니다.
한번 확인하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ㅎ
SEMIN_
@ijeweon, 말씀해주신 부분 확인해봤습니다. 이때는 이중되돌림을 주지못하고 하락한 것으로 보이네요. 그동안 비트파이넥스 이외 거래소는 신경쓰지않아서 몰랐었는데 제대로 한번 분석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ㅎㅎ

SEMIN_
@ijeweon, ijeweon님 덕분에 기간의 차이에 대한 의문이 풀린 것 같습니다. 13~14년도에 있었던 하이먼 민스키 모델에 따르면 이중되돌림을 주지못하고 하락함으로 인해 5파연장 하락조정파동의 끝값인 C자리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 하락조정파동이 일어남으로 인해 장기 침체구간이 됬었네요. 플랫조정에서 A가 B의 기간보다 월등히 길면 C의 추가조정이 있다라는 이론에 의해서 일 것 같네요. 이번 반등상승에서 만약 8150을 강하게 뚫고 이중되돌림을 준다면 최저점 자리는 3K, 만약 이중되돌림을 주지못하고 내려간다면 최대 1K까지도 가능성을 열어둬야할 것 같네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됬습니다.

SEMIN_
@ijeweon, 아 C값이 이게 맞는 듯 하네요.
Bitchain101
SEMIN_님의 분석중에 abc조정이 12345 파동에 비해 너무 짧다고 생각하네요 그리고 6070에서 1파를 완료했다고 보시는데 저번 7040이 1파 완료라고 보고 8500부근까지 올려준다고 생각하신분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8500은 안가고 최소한의 조정 약23%만 주고 다시 내려갔죠. 이번에도 여기서 8500까지 간다는거보다 좀더 보수적으로 생각하는건 어떤가요?
SEMIN_
@Bitchain101,


비트체인님 말씀대로 이미 6월 20일에 파동 카운팅 관점을 최종적으로 정리하여 글을 올려놓았습니다. 현재 C파의 3파 진행중으로 보고 있습니다.
tearliner
엘리어트 파동에 의해서 비트코인이 2k를 갈 수밖에 없나요? 무슨 개 좆 까잡수는 소리를 하고 계세요 ㅋㅋㅋㅋㅋ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먼 코걸이가 엘리어트 파동 아니였나요 ㅋㅋㅋㅋㅋㅋㅋ
goldstar3073
@tearliner, 와 지금보니까 님은 뭘해도 실패하겟다. 수고.
المزي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