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s119

엘리어트파동 기초 이론 - 조정파동

تعليم
BITFINEX:BTCUSD   بتكوين

조정파동은 충격파동보다 복잡하고 카운팅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조정파동을 알지 못한다면 엘리어트 파동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조정파동은 어렵지만 매우 중요하며 상당한 통찰력을 필요로 합니다.

조정 파동이라고 하락만 생각 할 수 있는데 충격파동이 상승추세인 경우 조정파동은 하락하는 모습을 띠며, 충격파동이 하락추세인 경우 조정파동은 상승을 하게 됩니다.

조정파동에는 지그재그 / 플랫 / 불규칙조정 / 삼각형 형태가 있으며,
복합조정으로 나오기도 합니다. 복합조정은 지그재그가 2,3개 연속으로 나오기도하며 플랫, 삼각형등 연속하여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때문에 조정파동 카운팅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1. 지그재그(5-3-5)
엘리어트의 파동이론의 기본에 가장 충실한 파동입니다.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하는 조정파동이니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1) a파동 = 전 충격파동의 0.618이상 되돌릴 수 없다.
2) b파동 = a파동의 0.618이상 되돌릴 수 없다.
3) b파동 = a파동의 적어도 1%이상은 되돌려야한다.
4) 반드시 5개의 소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한다.(a파동이 5개인 경우는 지그재그뿐이다.)

2.플랫(3-3-5)
b파동은 거의 a파동만큼 되돌리는 수준으로 나오게 됩니다. 실질적으로는 횡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1) a파동 = 3개의 소파동으로 구정한다.
2) b파동 = 3개의 소파동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a파동의 0.618 이상 되돌린다.
3) c파동 = 5개의 소파동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a파동의 0.382보다 길어야한다.

3.불규칙 조정(3-3-5)
주로 충격파동이 끝나는 5파에서 나오며 b 파동이 5파의 고점을 넘기면서 많은 혼란을 주는 조정입니다.
1) a파동 = 3개의 소파동으로 구성되고 여기까지는 일반 플랫 형태이다.
2) b파동 = 3개의 소파동으로 구성되고 a파의 1.382배 또는 1.618배의 길이로 결정되는 경향을 보인다.
3) 5번 파동이 마무리 된 후의 조정파동인 a-b-c에서 나타난다.(2,4번파동은 거의 없음.)
4) c파동 = 5개의 소파동으로 구성되고 엄청난 하락으로 이어진다.

4.삼각형(3-3-3-3-3)
1) 삼각형 수렴은 4파 혹은 b파에서만 나온다.(2파,a,c파에서는 절대 안나옴.)
2) 각 파동은 그 앞 파동의 0.618의 길이로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إخلاء المسؤولية

لا يُقصد بالمعلومات والمنشورات أن تكون، أو تشكل، أي نصيحة مالية أو استثمارية أو تجارية أو أنواع أخرى من النصائح أو التوصيات المقدمة أو المعتمدة من TradingView. اقرأ المزيد في شروط الاستخدام.